국민은행 해외송금 받는 방법과 수수료, 소요시간 등 자주 묻는 질문들도 확인해 보세요.
최근 미국에 있는 가족으로부터 해외송금을 받는 일이 생겨 주거래은행인 국민은행을 통해 받게 되었는데요. 국민은행으로는 처음으로 해외송금을 받는거라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송금을 받기까지 필요한 정보들을 모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송금 받기 전 송금인에게 알려줘야 하는 정보
해외송금을 받기 전에 송금하는 사람에게 본인의 계좌 정보를 전달해야 합니다.
저는 Bank Name(송금받는 분의 은행명), SWIFT 코드, Beneficiary Account Number(송금받는 분의 계좌번호), Beneficiary Name(송금받는 분의 이름), Beneficiary Address(송금받는 분의 영문 주소)를 요청 받았습니다.
국민은행 기준 정보는 다음과 같아요.
✅ KB국민은행 영문이름 : KB KOOKMIN BANK
✅ KB국민은행 SWIFT(BIC) 코드 : CZNBKRSE
✅ 송금받는 분의 계좌번호 : KB국민은행의 원화 또는 외화 입출금 계좌번호
국민은행 해외송금 받는 방법
국민은행 카카오톡 알림으로 해외송금 도착 알림을 받으면, 국민은행 앱에서 받을 송금 내역 조회가 가능합니다.
먼저, 국민은행 앱에서 [전체 메뉴]-[외환]-[해외송금받기]-[받을송금 조회(미입금분)]을 눌러 주세요.
그리고, 해외송금을 받을 계좌를 [외화 계좌] 또는 [원화 계좌]를 선택합니다. 이미 해외송금을 보내는 쪽에서 본인의 계좌번호를 입력했기 때문에 동일한 계좌를 선택해야 해요. 그리고 최근 일자를 눌러 조회를 하면 해외송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렇게 송금이 도착했다면 영업일 2일 이내 해당 계좌로 입금됩니다. 저는 송금 도착 당일에 원화 계좌로 바로 입금되었어요. 만약, 처리가 늦어질 경우 본인의 계좌를 개설한 지점 고객센터에 연락해서 문의하시면 됩니다.
🔗우리은행 해외송금 받기 수수료, 환율우대 80% 받은 후기
국민은행 해외송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1. 어떤 수수료가 발생하나요?
발생하는 수수료는 중계은행수수료, 타발송금 수수료, 환전수수료가 있어요.
먼저, 해외에서 송금한 금액은 중계은행수수료가 먼제 공제된 후 국내로 입금이 됩니다. 은행마다 다르지만 대략 20달러 내외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 수수료는 송금인이 본인이 부담하도록 선택할 수 있어요.
이후 국민은행으로 입금되면 타발송금 수수료가 발생하는데요. 외화 기준으로는 건당 1만원, 원화 기준으로는 최대 3만원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액 구간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지니 자세한 수수료는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구 분 | 징수기준 | 면제기준 |
외화표시 타발송금 수수료 |
건당, 10,000원 | – 미화 100불 상당액 미만인 경우 – 미화 2만불초과 포지션 발생하는 경우 – MVP 스타고객 면제 (로얄스타 50% 감면) |
원화표시 타발송금 수수료 |
– 500만원 이하 : 1만원 – 500만원~1,000만원 이하 : 2만원 – 1,000만원 초과 : 3만원 |
– 원화 10만원 미만 : 면제 – MVP 스타고객 면제 (로얄스타 50% 감면) |
마지막으로 환전 수수료는 원화계좌로 입금할 경우에는 입금 시점의 전신환매도율이 적용되어 원화로 입금됩니다.
2. 해외송금 금액이 많을 경우 별도 서류 제출이 필요한가요?
동일인, 동일자, 동일점포 누계 기준 미화 2만불 상당액 이하일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단, 2만불을 초과하면 거래증명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3. 해외송금 후 받기까지 소요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7/26(금) 송금을 하고 7/30(화)에 국민은행으로 해외송금 도착 문자가 왔습니다. 그리고 바로 원화 계좌로 입금됐어요. 따라서, 해외송금을 보낸 일자로부터 실제 원화 계좌에 입금되기 까지는 영업일 3일 정도 소요되는 것 같네요.
여기까지 실제 후기를 통해 국민은행 해외송금 받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는데요. 소액으로 해외송금을 보내거나 받는 경우에는 카카오뱅크를 이용하는 게 수수료를 훨씬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