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공모주 청약 일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지난 9월 두산로보틱스 청약 잘 마무리하셨나요? 청약 경쟁률이 무려 524.05 : 1이었다고 합니다.
두산로보틱스의 인기에 힘입어 앞으로의 공모주 청약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과연 10월에는 어떤 기업들이 예정되어 있는지 간단한 기업 정보와 청약 일정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월 공모주 청약 일정
10월 공모주 청약 일정표입니다. 공모주 청약 신청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0월 공모주 기업 리스트
1. 퓨릿
✅ 청약 일정 : 2023.10.05~2023.10.06
✅ 공모가 : 8,800~10,700원
✅ 상장일 : 2023.10.18
✅ 청약 증권사 : 미래에셋증권
퓨릿 공모주 평가
총 413만 7000주를 모집하며, 공모가 희망범위는 8,800~10,700원입니다.
퓨릿의 공모가 희망 범위는 국내 유사 기업들 대비 낮은 편이라고 합니다.
퓨릿 관련주
퓨릿과 주관사가 선정한 비교 기업은 레이크머티리얼즈, 솔브레인, 한솔케미칼, 동진쎄미켐입니다.
9월 25일 기준 해당 기업들의 현재 주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 레이크머터리얼즈 : 13,800
☑ 솔브레인 : 228,500
☑ 한솔케미칼 : 168,200
☑ 동진쎄미켐 : 33,400
퓨릿과 유사한 기업들의 최근 12개월 실적을 반영한 기업가치 대비 상각 전 영업이익(EV/EBITDA)은 14배, 주가수익비율(PER)은 21배입니다.
이에 비해 공모가 희망 범위 기준 퓨릿의 배수는 각각 8~10배, 12~15배로 비교 기업들과 비교해 28~41% 가량 할인된 수준이라고 합니다.
퓨릿 기업 설명
2010년 설립된 퓨릿은 반도체·디스플레이·산업 제조 공정에 쓰이는 화학 제품을 생산합니다.
산업용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유기용제의 회수 및 정제하는 사업구조를 목표로 설립됐습니다.
최근 초고순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제품까지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퓨릿의 국내 고객사는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화학 등으로 최근 인텔, 듀폰 등 글로벌 기업까지 시장을 넓히고 있다고 합니다.
2. 신성에스티
✅ 청약 일정 : 2023.10.10~2023.10.11
✅ 공모가 : 22,000~25,000원
✅ 상장일 : 2023.10.19
✅ 청약 증권사 : 미래에셋증권
신성에스티 공모주 평가
총 200만주를 100% 신주모집 방식으로 진행하며, 공모가 희망범위는 22,000~25,000원입니다.
최대 주주는 신성델타테크(공모 후 25.4%)로 안병두 대표 등을 포함한 특수 관계인 지분을 합하면 공모 후에도 57.4% 수준으로 높다고 합니다.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은 26.8%(242만2692주)입니다.
2개월 후 2대주주인 케이클라비스인베스트먼트(재무적투자자) 보유지분 12.6%, 6개월 후에는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지분 락업이 모두 해제된다는 점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신성에스티 관련주
2차 전지 관련 기업이며 관련주로는 신흥에스이씨, 상신이디피, 삼기이브이, 영화테크가 있습니다.
9월 25일 기준 해당 기업들의 현재 주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신흥에스이씨 : 44,700
☑ 상신이디피 : 14,960
☑ 삼기이브이 : 3,615
☑ 영화테크 : 12,030
신성에스티 기업 설명
2004년 설립된 신성에스티는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ESS) 배터리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2013년 말 LG화학의 에너지저장장치(ESS) 부품 수주를 계기로 현재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을 주요 파트너사로 두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전체 매출의 60% 이상이 이차전지에서 나오고 있으며, 전기차 핵심 부품인 부스바가 주력 상품이라고 합니다.
국내 2차전지 제조사를 통해 포드, 폭스바겐, 볼보 등 11개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로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3. 에스엘에스바이오
✅ 청약 일정 : 2023.10.10~2023.10.11
✅ 공모가 : 8,200~9,400원
✅ 상장일 : 미정
✅ 청약 증권사 : 하나증권
에스엘에스바이오 공모주 평가
총 77만주를 100% 신주모집 방식으로 진행하며, 공모가 희망 범위는 8200~9400원입니다.
현재 국내 유일의 의약품 종합 품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바이오 벤처 기업과 달리 재무구조가 탄탄하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에스엘에스바이오는 지난해 매출액 108억원, 영업이익 24억원, 당기순이익 28억원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22.5%로 업계 평균(6%)과 견줘 높은 수익성을 보였습니다.
지난 3년(2020~2022년)간 연평균 성장률 11.6%를 기록하며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액 100억원을 넘겼습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21년부터 흑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오버행(대규모 잠재매물) 우려와 코넥스 이전상장 기업이라는 점이 우려됩니다.
상장 직후 유통 가능한 물량이 총 470만431주(61.24%)로 올해 코스닥 상장사의 평균 유통가능 물량 비율인 33.32%보다 2배가량 높아 오버행 부담이 크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이에 대해 에스엘에스바이오 관계자에 따르면 오버행에 대한 시장 우려를 감안해 최대주주 및 주요주주의 의무 보유 기간을 최대 2년 더 늘렸다고 합니다.
에스엘에스바이오 관련주
비교회사는 바이오인프라, 한독, 바이넥스 3개사이며, 이들 회사의 최근 4분기 실적 기준 평균 PER은 27.61배입니다.
9월 25일 기준 해당 기업들의 현재 주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 바이오인프라 : 13,900
☑ 한독 : 12,580
☑ 바이넥스 : 8,050
에스엘에스바이오 기업 설명
2007년 설립된 에스엘에스바이오의 주력 사업은 의약품 품질관리, 신약 개발 지원, 인체 및 동물용 체외 진단 기기 연구 개발 및 판매입니다.
에스엘에스바이오는 현재 국내 유일의 종합 품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사 맞춤 포털 서비스를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300개 이상 시험 항목, 품목에 대해 식약처로부터 승인을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빅파마를 비롯한 주요 바이오 기업을 고객사로 다수 확보했습니다.
여기까지 10월 공모주 청약 일정과 함께 10월에 가장 먼저 진행되는 공모주 청약 기업 3곳을 살펴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공모주 청약 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업 공모주 평가, 관련주, 기업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